LINUX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gangee 2024. 3. 13. 15:33
728x90
반응형

명령의 구조

  • 형식 : 명령 [옵션] [인자]
    • 명령 : date, man, ls, cp, mv 등 수백가지 있음
    • 옵션 : 명령의 세부 기능 선택, '-' 또는 '--'으로 시작하며 영문으로 구성
    • 인자 : 명령으로 전달되는 값으로 파일명 또는 디렉토리 명이 사용

기초 명령

  1. clear : 화면을 지움
  2. man : 명령 사용법 화면에 출력
  3. whatis : 명령어에 대한 간단한 설명 출력
  4. passwd :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 변경
  5. whoami : 사용자 정보 확인
  6. history : 기존 사용했던 명령 모두 출력
  7. history -c : 기억되었던 명령 모두 삭제

파일

  • 관련있는 정보들의 집합
  • 리눅스는 파일을 효과적으로관리하기 위해 디렉토리(계층구조 = 트리구조)를 사용
  • 파일의 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파일, 디렉토리, 심볼릭 링크, 장치파일로 구분

1. 일반 파일

  •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
  •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 문서 편집기를 사용하여 내용을 보거나 편집 가능
  • 바이너리 파일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있어야 내용 확인 가능

2. 디렉토리

  •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도 파일로 취급
  • 디렉토리 파일 ->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된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
  • 디렉토리 계층구조를 기준으로 내가 찾고자 하는 위치에 있는 파일 접근 가능

3. 심볼릭 링크

  • 원본 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을 지정한 것
  •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함

4. 장치 파일

  • 물리적 장치에 대한 내부적인 표현
  • 키보드, 모니터, 프린터 등 각종 장치도 파일로 취급

디렉토리 계층구조

  • 리눅스는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위해 디렉토리를 계층적으로 구성 -> 트리구조
    . : 현재 디렉토리
    .. : 상위 디렉토리
    .파일명 : 숨긴파일

1. 작업 디렉토리

  • 현재 사용중인 디렉토리를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또는 현재 디렉토리(current directory) 하고 함
  • pwd 명령 :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 출력

2. 홈 디렉토리

  •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디렉토리로 처음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지정
  • 사용자는 자신의 홈 디렉토리 아래에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 생성
  • 작업 디렉토리와 홈 디렉토리는 다름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 경로명 : 파일 시스템에서 디렉토리 계층 구조에 있는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위치 표시 ("/")

1. 절대경로

  • 절대적인 위치
  • 항상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
  •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시작하여 경로 이름을 정확하게 적는 것

2. 상대경로

  • 현재 디렉토리가 어디냐에 따라 달라짐
  •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시작
  •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상위 디렉토리 이동 -> ..

파일과 디렉토리 이름의 규칙

  • 알파벳, 숫자, 붙임표, 언더바, 마침표 만 사용
    • 마침표로 시작하면 숨김 파일로 간주
  •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분
  •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 : /, *, 공백, 특수문자 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