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Linux] 파일 사용 명령어(2)

gangee 2024. 3. 22. 15:07
728x90
반응형

파일 다루기 : mv

  • 기능 : 파일 이동
  1. 현재 디렉토리 있는 파일을 다른 파일로 이동하기 : 파일명 바꾸기
    • test1.txt 파일을 data1.txt로 파일명 바꾸기
      • mv test1.txt data1.txt
  2.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기(1)
    • data1.txt를 temp 디렉토리로 이동
      • mv data1.txt temp
  3.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기(2) : 지정한 디렉토리에 파일명을 변경해서 이동
    • test1.txt를 temp 디렉토리로 이동, 이때 data2.txt로 파일명 변경해서 이동하기
      • mv test1.txt temp/data2/txt
  4.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기(3) : 쓰기 권한이 없는 디렉토리에 파일 이동 -> 오류
  5. 파일 여러 개를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 여러 개의 파일을 이동 시, 두번째 인자는 반드시 디렉토리여야 함
    • temp 디렉토리에 있는 data1.txt, data2.txt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
      • mv temp/data1.txt temp/data2.txt .
  6. i 옵션 사용하기 : 두번째 인자에 지정한 파일이 기존에 있는 파일일 경우 덮어서 이동할 것인지 물어봄
    • data1.txt를 data2.txt 파일로 이동(변경) 하기
      • mv -i data1.txt data2.txt
  7. 디렉토리를 디렉토리로 이동하기(1) : 두번째 인자가 존재하지 않는 디렉토리라면 -> 디렉토리명 변경
    • temp2를 temp3으로 디렉토리명 변경
      • mv temp2 temp3
  8. 디렉토리를 디렉토리로 이동하기(2) : 두번째 인자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라면 -> 디렉토리 아래로 이동
    • temp3을 temp 디렉토리로 이동
      • mv temp3 temp

파일 삭제 : rm

  • 기능 : 파일을 삭제함
  • 파일 및 디렉토리를 삭제하면 복구할 수 없으므로 신중하게 삭제할 것
  1. 파일 삭제하기
    • data2.txt 파일 삭제하기
      • rm data2.txt
  2. -i 옵션 사용하기 : i옵션 지정하고 rm 명령을 사용하면 정말 삭제할 것인지 물어봄
    • data1.txt 파일을 삭제하기
      • rm -i data1.txt
  3. 디렉토리 삭제하기(1)
    • rmdir 명령어로 temp3 디렉토리 삭제
      • rmdir temp/temp3 => 디렉토리가 비어있지 않으면 삭제 X
  4. 디렉토리 삭제하기(2)
    • rm -r 명령어로 temp3 디렉토리 삭제
      • rm -r temp/temp3
  5. 디렉토리 삭제하기(3) : i옵션과 함께 사용
    • 삭제하려는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를 삭제할 것인지 계속 물어봄
      • rm -ri temp

파일 링크

1. 하드 링크 : ln

  • 기능 : 파일의 링크를 생성함
  • 옵션 : -s 심볼릭 링크 파일 생성
  1. 하드링크 만들기(1)
    • test.org에 대한 test1.ln 생성
      • ln test.org test1.ln
  2. 하드링크 만들기(2) : 파일 내용도 동일함
    • test.org와 test1.ln 파일의 내용 출력
      • cat test.org
      • cat test1.ln

2. 심볼릭 링크

  • -s 옵션,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새로운 파일
    • test.org 파일을 심볼릭 링크 test3.sl 파일 생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