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기초문법
[기초문법] len(), count()
gangee
2023. 1. 11. 13:40
728x90
반응형
1. len() :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
2. count() : 문자열 내부에서 특정 문자의 갯수를 반환하는 함수
len() 함수
- 내부에 있는 문자의 갯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문자열뿐만 아니라 리스트, 튜플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 문자열
str_1 = "HelloWorld"
str_2 = "Hello Word"
str_3 = "Hello, Word!"
print(len(str_1))
print(len(str_2))
print(len(str_3))
============================
> 10
> 10
> 12
# 리스트
list_1 = ['hello', 'world']
print(len(list_1))
# 튜플
tuple_1 = ('hello', 'world')
print(len(tuple_1))
=============================
> 2
> 2
count() 함수
- 문자열 내부에서 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특정 문자를 카운팅할 때 대소문자를 구별하며, 카운팅하는 범위도 지정 가능하다. 튜플, 리스트, 집합과 같이 반복이 가능한 iterable 자료형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 함수 사용법 : .count('검색요소', start, end + 1)
# 문자열
str_count = "HelloWord"
print(str_count.count('h'))
print(str_count.count('H'))
print(str_count.count('o'))
print(str_count.count('o', 2, 6))
print(str_count.count('o', 2, 4))
print(str_count.count('Hello'))
===========================================
> 0
> 1
> 2
> 1
> 0
> 1
# 리스트
list_count = ['hello', 'world']
list_count_2 = [2, 3, 1, 2, 6, 7]
print(list_count.count('o'))
print(list_count.count('hello'))
print(list_count_2.count(2))
# 튜플
tuple_count = ('hello', 'world')
tuple_count_2 = (2, 3, 1, 2, 6, 7)
print(tuple_count.count('hello'))
print(tuple_count_2.count(2))
print(tuple_count_2.count(3))
==========================================
> 0
> 1
> 2
> 1
> 2
>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