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sis/Data Analysis

[Thesis] Data Analysis - 공공데이터 기반 화재 발생 요인 분석 (학술)

gangee 2024. 3. 26. 20:47

목차

    728x90
    반응형

    서론

    • 화재 발생건 수는 2022년부터 점점 증가하는 추세
    • 데이터 수집 기관 : 공공데이터포털, 소방청
    • 수집 데이터 : 화재 발생 건수, 시도별 공장 수와 인구수, 계절별 화재 발생수 등
    • R studio 사용한 자료 분석
    •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분석 결과 제시

    본론

    1. 선행연구를 통한 화재 발생 원인 가설

      • 제조업체나 공장의 분포 : 경기도지역에 비교적 많음
      •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철에 발생률 높을 것
      •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2. 원인별 가설에 대한 분석 결과
      2-1. 경기도지역의 비교적 많은 제조업체나 공장의 분포가 높은 화재 발생률의 원인이 된다.

      • 시도별 공장 수/시도별 인구수 대조
      • 경기도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비례하지 않음
        2-2. 겨울철이 다른 계절에 비해 화재 발생률이 더 높을 것이다.
      • 분기별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계절별 화재 요인과 화재 발생 건수 비교 분석
      • 봄 > 겨울 > 가을 > 여름
      • 겨울철보다 봄철에 더 많은 화재 발생으로 가설 성립 X
        2-3.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화재 발생률은 더 높다.
      • 시도별 인구수와 시도별 화재 발생 현황 비교 분석
      • 인구수가 많을 수록 화재 발생률 높음으로 가설 성립

    결론

    • 지역별 공장 수와 비례하지 않는 화재 발생 건수
    • 겨울철보다 봄철에 더 많은 화재 발생
      • 지역적인 특성이나 발화요인에 따라 화재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남
      • 특정 요인보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 발생 조심

    출처

    1. 논문 이름 : 공공데이터 기반 화재 발생 요인 분석
    2. 저자 : 김다현, 백재순, 김성진(교신저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