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QL 8

[SQLD] 제 52회 sqld 시험 후기

이번엔 SQL 개발자 시험 후기를 가져왔어 ! 본격적인 후기에 들어가기 전에 내가 얼마나 공부했는지 알려줄게 공부 기간 : 1주 기간으로 따지면 1주간 공부를 했는데 개으름을 많이 피워서 실제 집중해서 공부한 시간은 5시간에서 10시간 사이 일거 같아 공부한 양 sql 개발자의 경우는 크게 2개의 과목이 있고 작은 과목으로는 4개 정도가 있어 책 없이 인터넷 자료만 가지고 공부를 했고 시험 과목과 방법이 바뀌고 나서 첫 시험이라 생각보다 자료가 많지 않았어 새롭게 추가된 부분에 대한 자료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고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을 한번만 보고 시험에 들어갔어 (참고했던 영상 링크는 블로그 마지막에 달아둘게 !) 이렇게 공부하고 시험친 후기로는 전날에 봤던 영상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됐어. 특히 새롭게..

자격증/SQLD 2024.03.10

[SQLD] DDL

DDL 데이터 구조 정의(객체 생성, 삭제, 변경) 언어 CREATE, ALTER, DROP, TRUNCATE AUTO COMMIT : 명령어 수행하면 즉시 저장, 원상복귀 불가) 1. CREATE 객체를 생성하는 명령어 테이블 생성 시 테이블명, 칼럼명, 칼럼 순서, 칼럼 크기, 칼럼의 데이터타입 정의 필수 테이블 생성 시 각 칼럼의 제약조건 및 기본값은 생략 가능 테이블 생성 시 소유자 명시 가능 (생략 시 명령어 수행 계정 소유) CREATE TABLE [소유자.]테이블명( 칼럼1 데이터 타입 [DEFAULT 기본값] [제약조건], 칼럼2 데이터 타입 [DEFAULT 기본값] [제약조건], ... );CREATE TABLE 테이블명 AS SELECT * FROM 복제테이블명; 테이블 복제 복제테이블..

자격증/SQLD 2024.03.08

[SQLD] DML, TCL

DML INSERT, UPDATE, DELETE, MERGE COMMIT OR ROLLBACK 반드시 필요 1. INSERT 행 삽입 시 사용 한번에 한 행만 삽입 가능 SQL Server : 여러 행 동시 삽입 가능 칼럼별 데이터타입, 사이즈 맞게 삽입 작성하지 않은 칼럼 = NULL 전체 칼럼 입력 시, 칼럼명 명시 X INSERT INTO 테이블 VALUES(값1, 값2, ...); INSERT INTO 테이블(칼럼1, 칼럼2, ...) VALUES(값1, 값2, ...);2. UPDATE 데이터 수정할 때 사용 칼럼 단위 수행 다중 칼럼 수정 가능 2-1. 단일 칼럼 수정 UPDATE 테이블명 SET 수정할 칼럼명 = 수정값 WHERE 조건; WHERE 절로 수정 대상 선택 가능 2-2. 다중 칼..

자격증/SQLD 2024.03.07

[SQLD] 키(Key) 종류와 개념

Key 무언가를 식별하는 고유한 식별자 기능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관계의 행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다른 행과 구별할 수 있는 유리한 기준이 되는 속성의 집합 1. Primary Key(PK) 1-1. 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 또는 필드의 집합 테이블에서 각 레코드를 식별하는 데 사용 각 레코드에는 기본키가 반드시 있어야 함 1-2. 특징 각 레코드에 대해 고유함 (Unique) NOT NULL 테이블 당 하나의 기본키만 지정 가능 2. Foreign Key(FK) 2-1. 정의 하나의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키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무결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 2-2. 외래키 이점 데이터 무결성 유지 데이터베이스의 참조..

자격증/SQLD 2024.03.06

[SQLD] SQL 기본 및 활용 - SQL 기본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1-1. 데이터베이스 정의 특정 기업이나 조직 또는 개인이 필요에 의해 데이터를 일정한 형태로 저장해 놓은 것 DBMS :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발전 : 플로우 차트 -> 계층형/망형 -> 관계형 -> 객체관계형 1-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 단점 동시에 삽입/수정/삭제 불가능 : 데이터 관리 어려움 복사본 파일을 만들어 사용할 경우, 데이터의 불일치성 발생 RDB의 장점 정규화를 통해 이상현상과 중복 제거 데이터 무결성 보장, 데이터 회복/복구 가능 병행 제어, 동시성 관리를 통해 데이터 공유 데이터 표현 방법 등을 체계화 -> 데이터 표준화, 품질 확보 2. SELECT 문 3. 함수 3-1. 단일행 함수, 다중 행 함수 단일 행 함수 내장..

자격증/SQLD 2024.03.04

[SQLD]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데이터 모델과 SQL - 1

1. 정규화 데이터 모델을 좀 더 구조화하고 개선시키는 절차 중복 제거, 무결성 지킴 정규화가 잘 되어있으면 : "삽입, 수정, 삭제" 성능 향상 반정규화가 잘 되어있으면 : "조회" 성능 향상(중복 만들어서) 1-1. 성능 조회/삽입, 수정, 삭제 두 가지 측면 모두 고려해야함 1-2. 함수의 종속성 데이터들이 어떤 기준 값에 으해 종속되는 현상 결정자(주민등록번호) 종속자(이름, 출생지, 주소) 1-3. 반정규화 중복 생성 정규화된 엔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선능 향상, 단순화를 수행하기 위해 중복, 통합, 분해 등 수행 무결성이 깨질 수도 있음 Disk I/O 감소시키고, 긴 조인 쿼리문으로 인한 선능 저하 해결 중복성의 원리를 활용해 데이터 조회 시 성능 향상 1-4. 반정규화에서 정규화도 일부..

자격증/SQLD 2024.03.02

[SQLD]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 데이터 모델의 이해 1-1. 데이터 모델링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업무 분석 기법 현실 세계 데이터 -> 약속된 표기법 표현 DB 구축을 위한 분석, 설계 과정 특징 :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정확화) 관점 : 데이터(What), 프로세스(How), 상관(Interaction) 중요성 : 간결, 정확, 신뢰 => 명확 간결, 품질유지(오래된 데이터의 정확성 신뢰성) 필요한 이유 : 업무 흐름 설명, 일정한 표기법 유의점 : 중복, 비유연성, 비일관성 비유연성 : 분리해서 유연하게 비일관성 : 일관되고 명확하게(상호연관관계 명확) 1-2. 데이터 모델링 3단계 개념 : 추상화 높음, 업무중심적, 포괄적 수준 논리 : {키, 속성, 관계} 표현, 재사용성, 정규화 물리 : 실제 이식, 물리적 성격..

자격증/SQLD 2024.03.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