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28x90
반응형
가상현실 인지 과정
- NLP(자연어 처리) 소통 모델
- 인간이 사물을 인지하는 과정
- 외부의 자극이 감각 기관에 전달되면 뇌의 활동을 통해 해석되어 보고, 듣고, 촉감과 존재감을 느낌
- 인지 과정을 통해 외부 환경이 이해되면 인간은 생리적, 정서적 상황에 따른 행동을 함
- 행동에 의해 변화된 외부 자극을 다시 받아들이는 과정을 반복
- 인간은 1초마다 약 200만 비트의 정보를 입력 받고 이 중 약 134비트의 정보만 받아들여 해독함
- 인간이 사물을 인지하는 과정
인간의 감각 기관
1. 시각
- 시지각 : 눈으로 입력되는 모든 정보를 뇌에서 해석하는 능력을 말하며, 그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뇌의 역할까지 포함
- 입체시 : 양안시차로 생기는 깊이감, 즉 두 눈이 덜어져 있기 때문에 입체적으로 3차원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
- 시야각 :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볼 수 있는 영역의 범위
- 시야각 넓고 속도가 빠를 때, 몰입도 커지고 사이버 멀미 가능성 커짐
- 시야각 좁고 속도가 느릴 때, 몰입도 떨어지고 사이버 멀미 가능성 낮아짐
- 지연속도는 보통 20밀리초 이하일 때 자연스럽게 느껴짐
- 지연속도 :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부터 눈에 보이기까지의 응답 시간
2. 청각
- 머리가 돌아가는 위치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야 실감나게 들림
- 그러기 위해선 HMD 필요
- HMD : 사용자의 행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해 소리를 전달하는 것
- ex) 유튜브 - 360도 동영상/시청자가 보는 위치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게하는 사운드 관련 지원, 엔비디아 - VR 웍스 오디오
3. 촉각
- 가상현실에서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요소
- 가상의 물건을 만질 때 팔이나 손에 물리적인 힘을 주어 마치 직접 만지는 것처럼 느끼게 하면 몰입감이 한층 높아짐
- ex) 마누스 - 마누스 VR, 덱스타 로보틱스 - 덱스모
4. 후각과 미각
- 후각과 미각을 연결해 냄새나 맛을 인공적으로 합성하기 위한 실험도 진행되고 있지만 상용화까지는 아직 어려움
728x90
반응형
'VR & 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VR&AR] 가상현실 생태계 - 연습문제 (0) | 2024.06.20 |
---|---|
[VR&AR] 인간의 오감을 실현하는 가상현실 - 연습문제 (0) | 2024.06.20 |
[VR&AR] 가상현실의 개념과 역사 - 연습문제 (0) | 2024.06.20 |
[VR&AR] 오감을 실현하는 가상증강현실 기술 (0) | 2024.03.16 |
[VR & AR] 가상현실의 개념 (0) | 2024.03.14 |